본문 바로가기
BackEnd/Spring

스프링 3일차(DB연결)

by JaeHa.K 2021. 8. 25.
728x90

(간단한 Test프로젝트를 생성해서 해보았다.)

오늘 할 것은 DB > DAO > Service > Controller > 사용자!

간단하게 요약하자면 Spring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해내는 것이다.

(언제나 말로는 쉽다.🥶)

 

우선 기본 설정하는 것부터 시작했다.

0. src파일의 폴더중 appServlet이라는 폴더에 servlet-context.xml이라는 파일이 있다.

	<beans:bean class="org.springframework.web.servlet.view.InternalResourceViewResolver">
		<beans:property name="prefix" value="/WEB-INF/views/" />
		<beans:property name="suffix" value=".jsp" />
	</beans:bean>
	
	<context:component-scan base-package="com.ramg.web" /><!-- 어노테이션 해놓은 값들 다 갖고 오겠습니다. -->
	
	<beans:import resource="classpath:/spring/**/*-context.xml"></beans:import><!-- -context.xml 파일들을 모두 설정 파일로 갖고 오겠습니다. -->

prefix와 suffix는 서블릿 설정으로 prefix(접두사)와 suffix(접미사)를 붙여주는 역할을 담당한다. 즉, 우리가 일일이 전체경로와 .jsp를 붙이지 않아도 자동으로 붙여주며 우리를 도와준다.

 

 

자~ 가봅시다~

1. pom.xml에 필요한 maven을 갖고 온다.

https://mvnrepository.com/ (maven파일 쉽게 갖고 올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.)

<repositories>
	<repository>
		<id>mvn2</id>
		<url>http://repo1.maven.org/maven2/</url>
		<releases>
			<enabled>true</enabled>
		</releases>
		<snapshots>
			<enabled>true</enabled>
		</snapshots>
	</repository>
	<repository>
		<id>egovframe</id>
		<url>http://www.egovframe.go.kr/maven/</url>
		<releases>
			<enabled>true</enabled>
		</releases>
		<snapshots>
			<enabled>false</enabled>
		</snapshots>
	</repository>
</repositories>
<dependencies>
	<!-- 파일 업로드용 -->
	<!-- https://mvnrepository.com/artifact/commons-fileupload/commons-fileupload -->
	<dependency>
		<groupId>commons-fileupload</groupId>
		<artifactId>commons-fileupload</artifactId>
		<version>1.3.3</version>
	</dependency>
	<!-- mariadb -->
	<!-- https://mvnrepository.com/artifact/org.mariadb.jdbc/mariadb-java-client -->
	<dependency>
		<groupId>org.mariadb.jdbc</groupId>
		<artifactId>mariadb-java-client</artifactId>
		<version>2.7.2</version>
	</dependency>
		
	<!-- 추가 DroverManager를 가지고 있는 -->
	<dependency>
		<groupId>org.springframework</groupId>
		<artifactId>spring-jdbc</artifactId>
		<version>${org.springframework-version}</version>
	</dependency>
		
	<!--  mybatis -->
	<!-- https://mvnrepository.com/artifact/org.mybatis/mybatis -->
	<dependency>
		<groupId>org.mybatis</groupId>
		<artifactId>mybatis</artifactId>
		<version>3.5.6</version>
	</dependency>
	<!-- https://mvnrepository.com/artifact/org.mybatis/mybatis-spring -->
	<dependency>
		<groupId>org.mybatis</groupId>
		<artifactId>mybatis-spring</artifactId>
		<version>1.3.2</version>
	</dependency>
    <!-- AspectJ -->
	<dependency>
		<groupId>org.aspectj</groupId>
		<artifactId>aspectjrt</artifactId>
		<version>${org.aspectj-version}</version>
	</dependency>
</dependencies>

 

 

2. src/main/resources에 spring패키지를 생성하고 data-context.xml 파일을 만든다.

spring패키지를 선택하고 우클릭을 한다음 New에서 Spring Bean Configuration File이라는 항목을 선택하여 data-context.xml파일을 생성해줍니다.

	<!-- 데이타소스 객체 생성 -->
	<bean id="dataSource" class="org.springframework.jdbc.datasource.DriverManagerDataSource">
		<property name="username" value="ID입력"/>
		<property name="password" value="PW입력"/>
		<property name="url" value="jdbc:mariadb://localhost:3306/DB명"/>
		<property name="driverClassName" value="org.mariadb.jdbc.Driver"/>
	</bean>
	
	<!-- sqlSessionFactory -->
	<bean id="sqlSessionFactoryBean" class="org.mybatis.spring.SqlSessionFactoryBean">
		<property name="dataSource" ref="dataSource"/>
		<property name="mapperLocations" value="classpath:/mybatis/mappers/*Mapper.xml"/>
		<property name="configLocation" value="classpath:/mybatis/config/mybatisConfig.xml"/>
	</bean>
	
	<!-- sqlSessionTemplate -->
	<bean id="sqlSession" class="org.mybatis.spring.SqlSessionTemplate">
		<constructor-arg name="sqlSessionFactory" ref="sqlSessionFactoryBean"/>
	</bean>

sqlSessionFactory에서 mapperLocations는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sql구문을 넣는 저장소 역할을 합니다.

configLocation은 내가 만든 클래스를 mybatis가 사용할 수 있도록 등록해주는 역할을 해줍니다.

 

 

3. src/main/resources에 mybatis라는 폴더를 생성해주고 그 안에 config와 mappers폴더를 생성해줍니다.

여기까지 왔다면 resources의 하위 항목으로 이렇게 표시가 됩니다.

 

 

4. mybatis.config에 mybatisConfig.xml을 만들어줍니다.

https://mybatis.org/mybatis-3/ko/getting-started.html(DOCTYPE을 갖고와야 됩니다.)
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
<!DOCTYPE configuration
  PUBLIC "-//mybatis.org//DTD Config 3.0//EN"
  "http://mybatis.org/dtd/mybatis-3-config.dtd">
<configuration>
	<typeAliases>
		<typeAlias type="java.lang.Integer" alias="integer"/>
		<typeAlias type="com.ramg.web.TestDTO" alias="TestDTO"/>
	</typeAliases>
</configuration>

이제 mybatis에는 integer와 TestDTO가 등록되었습니다.

 

 

5. mybatis.mappers에 testMapper.xml을 만들어줍니다.
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
<!DOCTYPE mapper
  PUBLIC "-//mybatis.org//DTD Mapper 3.0//EN"
  "http://mybatis.org/dtd/mybatis-3-mapper.dtd">
<mapper namespace="test">
	<select id="boardList" resultType="TestDTO">
		SELECT * FROM board
	</select>
</mapper>

mapper안에 있는 sql문은 id를 boardList로 resultType(결과값으로 나갈 것들)은 TestDTO로 만든다. 그리고 해당 sql문을 갖고 있는 mapper이름을 test라고 지정한다.

 

 

6. com.ramg.web(ramg는 닉네임입니다. 자신이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함께 생성한 파일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)에 TestDTO, TestDAO를 생성합니다.

TestDTO

package com.ramg.web;
// 갖고 오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Attribute 속성값을 불러옵니다.
public class TestDTO {
	private int bno, bcount, no;
	private String btitle, bcontent, bdate;
	public int getBno() {
		return bno;
	}
	public void setBno(int bno) {
		this.bno = bno;
	}
	public int getBcount() {
		return bcount;
	}
	public void setBcount(int bcount) {
		this.bcount = bcount;
	}
	public int getNo() {
		return no;
	}
	public void setNo(int no) {
		this.no = no;
	}
	public String getBtitle() {
		return btitle;
	}
	public void setBtitle(String btitle) {
		this.btitle = btitle;
	}
	public String getBcontent() {
		return bcontent;
	}
	public void setBcontent(String bcontent) {
		this.bcontent = bcontent;
	}
	public String getBdate() {
		return bdate;
	}
	public void setBdate(String bdate) {
		this.bdate = bdate;
	}
	
}

TestDAO

@Repository
public class TestDAO {
	@Autowired
	private SqlSession sqlSession;
    
	public List<TestDTO> boardList(){
		return sqlSession.selectList("test.boardList");
	}
}

testMapper.xml에서 우리는 sql문의 id를 boardList라고 지정했었고 해당 sql문의 mapper를 test라고 설정했었습니다.

 

따라서 TestDAO에서는 data-context.xml에서 dataSource를 동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을 하고 mapperLocations(데이터베이스와 어떤 방식으로 통신할건지_sql문)와 configLocation(불러오고자 하는 값_mybatis안에 등록되어 있는 TestDTO의 객체 값)을 통해 필요한 값을 갖고 오도록 설계를 한 것입니다.

 

이 모든 구조를 배경으로 sqlSession을 이용하여 test속 boardList라고 생성된 sql문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게 되는 것입니다.

 

7. 마찬가지로 com.ramg.web에 TestService.java와 TestController.java를 생성해줍니다.

TestService.java

@Service
public class TestService {
	@Autowired
	private TestDAO testDAO;
	
	public List<TestDTO> boardList(){
		return testDAO.boardList();
	}
}

 

TestController.java

@Controller
public class TestController {
	@Autowired
	private TestService testService;
	
	@RequestMapping(value = "/board", method=RequestMethod.GET)
	public ModelAndView board() {
		ModelAndView mv = new ModelAndView("board");
		List<TestDTO> boardList = testService.boardList();
		mv.addObject("list", boardList);
		return mv;
	}
}

 

TestService는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한 후 받아온 값을 담아주는 역할을 합니다.

TestController는 그런 TestService에게 명령을 내리는 일종의 트리거 역할을 합니다.

(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. 컨트롤러 -> 서비스 -> DAO -> 세션 -> DB 이렇게 순차적으로 이뤄집니다.)

TestController에서 맵핑작업(어느 페이지에 대한 컨트롤러인지)을 합니다. TestService에 있는 boardList를 잡아 ModelAndView에 데이터를 리스트로 담아서 반환값으로 지정해줍니다.

 

 

8. src에서 views에 board.jsp를 생성해줍니다.

마지막 단계입니다. 사용자가 board.jsp에 접근을 하면 그 즉시 TestController라는 트리거가 작동하게 됩니다.

그렇기 때문에 board.jsp에서는 컨트롤러에서 받은 값을 표현해주기만 하면 끝납니다.

<div id="board">
	<ul id="sub">
          <li>번호</li>
          <li>제목</li>
          <li>날짜</li>
          <li>조회수</li>
          <li>글쓴이번호</li>
	</ul>
    <c:forEach items="${list }" var="l">
        <ul id="main">
            <li>${l.bno }</li>
            <li>${l.btitle }</li>
            <li>${l.bdate }</li>
            <li>${l.bcount }</li>
            <li>${l.no }</li>
        </ul>
    </c:forEach>
</div>

이제 Run As > Run on Server를 해주면...!

 

짠~ 이런식으로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~

JSP로 했을 때와는 차원이 다른 느낌이랄까... 이곳저곳 서로 맞물리면서 통신을 하다보니 각 파일마다 코딩량은 적지만 머릿속으로 관계도를 그리지 못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를 모른채 사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....

 

다같이 화이팅~

(참조하면 좋은 사이트: https://devpad.tistory.com/24)

반응형